전체 글29 Typescript 공부하기 7일차 (2022.09.30) 1. Optional Chaining 1) 특징 - 접근하는 객체의 프로퍼티가 null 또는 undefined 일 수 있는 Optional property인 경우 if문을 사용하지 않고 넘어가게 하는 체이닝 방법 - es2020에서 추가된 문법이며 객체가 null 또는 undefined를 리턴. 그렇지 않는 경우 데이터 값을 리턴 2) &&와 ?.의 차이점 - &&: falsy(false, null, undefined, '', 0, -0, NaN) 값 체크 - ?(Optional Chaining): null과 undefined만 체크 3) 활용 - Object, Array - Optional Function - if문 줄이기 (가독성 향상) type Tail = { 살랑살랑: () => void; }; .. 2022. 9. 30. Typescript 공부하기 6일차 (2022.09.29) 1. Union Type & Intersection Type 1) 특징 - 기존 타입, 인터페이스의 변경은 이미 그 타입을 사용하고 있는 코드에 똑같은 변경을 가해줘야 함 - 만약 해당 타입을 쓰는 모든 코드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특정 코드만 자유롭게 타입을 확장하고 싶을 때 사용 2) Union Type - Union -> or : A | B - '|' 사용 - Type A, Type B가 있을 때 A와 B를 유니온하면 A타입 또는 B타입 둘 중 하나 - 여러 타입 중 하나가 올 것이라고 가정할 때 사용 - 단, 인터페이스에 유니온 타입을 사용하는 경우 유니온 타입을 확장하지 못함 - 이럴 때는 type과 &를 사용해야함 let one: string | number; one = '1'; one = 1;.. 2022. 9. 29. Typescript 공부하기 5일차 (2022.09.28) 1. Generic 1) Generic란? - 데이터 타입을 일반화 한다는 것을 의미 - 정적 type 언어는 클래스나 함수를 정의할 때 type을 선언해야 한다. ㄴ ex) C언어는 int type 변수를 선언하면 정수형 값만 할당할 수 있다. - Generic은 코드를 작성할 때가 아니라 코드가 수핸될 때 타입을 명시한다. - 코드를 작성할 때 식별자를 써서 아직 정해지지 않은 타입을 표시한다. 2) Generic을 사용하는 이류 - 재사용성이 높은 함수와 클래스 생성 가능 ㄴ 여러 타입에서 동작 가능 ㄴ 코드의 가독성 향상 - 오류를 쉽게 포착 가능 ㄴ any 타입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 타입을 체크하지 않는다. ㄴ 타입을 체크하지 않아 관련 메소드의 힌트를 사용할 수 없다. ㄴ 컴파일 시에 컴파일러.. 2022. 9. 28. Typescript 공부하기 4일차 (2022.09.27) 1. Interface 1) Interface란? - 일반적으로 변수, 함수 , 클래스에 타입 체크를 위해 사용 - 직접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고 모든 메소드가 추상 메소드 - 추상 클래스의 추상 메소드와 달리 abstract 키워드 사용 불가 - ES6는 인터페이스 미지원, TS는 지원 2) 사용 목적 - 타입의 이름을 짓고 코드 안의 계약을 정의 - 프로젝트 외부에서 사용하는 코드의 계약을 정의하는 강력한 방법 - 아래 범주에 대해 계약 정의 가능 ㄴ 객체의 스팩 (속성과 석성의 타입) ㄴ 함수의 파라미터 ㄴ 함수의 스펙(파라미터, 반환 타입 등) ㄴ 배열과 객체에 접근하는 방식 ㄴ 클래스 3) 사용 예시 // A function sayName(obj: { name: string }) { conso.. 2022. 9. 27.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